• 검색
복지마을만들기, 그 상상과 실천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1-11-29 조회수 5133
첨부파일 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수원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이하 협의체)의 ‘복지마을만들기’ 활동배경

 

제2기 수원시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2009년 실시한 지역주민 욕구조사결과 주민참여를 위한 기반이 부족하고 잠재된 주민 자원 및 욕구 발굴이 미약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동단위의 기존 단체들 중심의 조직화와 지역리더 양성을 통한 동중심의 주민 역량강화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주민참여부문중 지역사업으로 10-1-1-1 지역리더 구성 및 운영, 10-1-1-2 지역특성에 맞는 주민참여모델구축, 10--1-2-1 참여기관 운영지원 사업, 3개의 사업을 수립하였으나 예산반영의 문제 등 불가피 추진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어 협의체에서 자체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또한, 민선5기 들어 마을만들기사업이 주요하게 추진되었는데 대부분 도시재생,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고민되었기에, 협의체에서는 도시재생 등의 하드웨어적 마을만들기가 아닌 복지를 통한 마을 공동체 향상이라는 마을만들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복지마을만들기의 테마는 주민참여와 지역리더 구성, 지역공동체 형성이었으며, 복지마을만들기의 모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2010년도 하반기부터 논의시부터 2011년도 협의체 운영계획에 복지마을만들기사업을 포함하여 계획하였다.

 

 

복지마을만들기 사업추진 내용과 향후 과제

 

 

 

이에 따라 협의체에서는 다양한 마을만들기의 유형 중에서도 복지 마을만들기의 모델을 만들어보고자, 금년 3~4월 복지마을만들기를 위한 9개 복지관 실무자 대상 “수원복지마을학교”을 시작으로 6월부터는 매월 “수원복지마을학교 심화과정”을 진행하며 복지관에서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형식과 내용에 대해 공유하고 학습하는 시간을 갖았다.

 

 

이후 지역분과(복지관)와의 논의를 통해 복지마을만들기에 대한 열의와 추진력 등을 고려하여 연무사회복지관, 무봉종합사회복지관과 복지마을만들기 시범지역을 선정하였다. 협의체는 마을에 기반을 둔 단체, 기관이 아니므로 지역에 기반을 둔 복지관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모형이며, 협의체에서는 추진방향 및 추진과정에 대한 협의를 통해 시범기관이 제대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교육후 복지마을만들기 시범사업 지역 및 기관 선정을 통해 복지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의 추진 기간이 복지마을의 개념을 정리하고 성과를 보여주기에는 짧은 기간이었으나, 복지마을학교 등을 통해 마을르네상스센터와의 네트워크 형성, 복지관에서 추진하는 마을만들기에 대한 철학과 가치를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연무동 복지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연무동 지역주민들을 모집하고 마을만들기의 철학과 내용의 이해를 돕기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주민들이 직접 동네을 둘러보고 지역문제를 확인하는 ‘동네한바퀴’ 등 복지마을학교(마을만들기 교육)를 5회 진행하였다. 그리고 퉁소바위축제는 연무동에서 오랫동안 전해내려오는 전설을 스토리텔링하여 나눔과 소통을 주제로 기획하게 되었고, 축제를 통해 연무동 지역주민들에게 마을만들기의 과정, 성공적 경험를 제공하여 협동심을 고취하고 마을만들기의 성취감, 이후의 동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난 11월 23일 제5차 휴먼복지포럼을 통해 그동안 복지관에서 추진해온 마을만들기의 과정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와 복지관에서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고민, 복지마을만들기에 대한 개념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전통적인 주민조직화와 마을만들기와의 관계, 복지마을만들기의 개념과 내용 그리고 범위, 복지마을만들기를 통한 사례관리 구축, 복지마을만들기의 모형개발 등의 과제가 논의되었다.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복지마을만들기가 주민들의 참여속에서 추진되어 지역사회 복지문제를 스스로,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밑으로부터의 지역복지가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 복지마을의 개념도

 

구분

지역공동체

지역개발

사회투자

내용

․전체성과 지속가능성

․다양성과 공간의 고유성

․소속감과 공동체의식 고양

․비공식적 연결망과 상호작용

․공식적 연결망과 상호작용

․지역개발 구조의 창출

․지역사회 자원의 존중

․정치적 참여와 권력배분

․경제적 흐름과 임파워먼트

․인적자본과 사회자본

․기회투자와 사회정의

․비영리복지와 복지혼합

․자발적 결사체와 자조

예시

․지역문화 만들기

․지역일자리 나누기

․사회통합 프로그램

․공동육아 및 대안학교

․취약계층 지원

․주민조직 활성화

․지역조직간 연대

․마을 공간, 주민문화센터

․주거 및 복지시설의 확충

․친환경 및 도농직거래

․재래시장 활성화

․지역자원의 개발

․지역개발 모형의 수립

․지역복지협의체

․기초생활 공적보장

․아동, 여성에 대한 투자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조직

․두레 및 품앗이, 자원봉사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지역사회복지공동체 수립에 관한 연구 내용중)

다음글다음글 영화 도가니, 사회복지사업법을 다시쓰다!!
다음글이전글 지역사회 기부활성화 어떻게 할 것인가?